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8

맨발걷기의 효능 및 주의점 알아보기 맨발걷기, 어싱(Earthing)은 '땅(Earth)과 ing의 합성어로, 맨발로 땅을 밟으며 지구와 하나로 연결된다는 의미로 접지를 말합니다. 인간은 땅 위에 삽니다. 몇 천년을 거슬러 올라가 보면 우리 내 조상들도 다 땅을 맨발로 밟으며 살아왔습니다. 신발이 만들어지고, 아스팔트, 도로, 고층아파트 등이 들어서면서 우리는 땅 위에 살면서도 땅과 멀어지고 있습니다. 요즘 맨발걷기로 여러 질병을 고쳤다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종종 들리고, 몇몇 지자체에서는 황톳길 등 맨발 걷기 길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필자도 맨발 걷기에 대해 관심이 생겨 한번 걸어보았습니다. 그리고 맨발 걷기에 대해 알리고자 이 글을 쓰기 시작합니다. 1. 맨발걷기의 효능맨발로 걸으면 어떤 효능이 있길래 맨발 걷기로 효과를 본 사람들이 열.. 2024. 8. 12.
잠에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 (멜라토닌, 코티졸) 알아보기 멜라토닌은 수면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호르몬입니다. 요즘 멜라토닌을 잠을 자게 도와주는 영양제로 알고 복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멜라토닌은 우리 몸에서 만들어지는 호르몬입니다. 오늘은 잠에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 중에서 코티졸과 멜라토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각성 호르몬 코티졸우리는 왜 밤에 잠을 잘까요? 잠에 대해 알려진 것은 많지 않지만 우리 몸은 낮에 활동하고, 밤에 잠을 자도록 하는 생체시계에 따라 움직입니다. 이는 빛과 관련이 있으며 몸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영향입니다. 특히 밤낮의 생체리듬에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은 멜라토닌 그리고 코티졸입니다. 이 둘은 반대 작용을 합니다. 먼저, 코티졸은 낮의 호르몬입니다. 아침이면 우리는 각성 상태가 되어 하루를 시작합니다. 혈압.. 2024. 8. 10.
잠 잘 자는 법 및 수면주기 알아보기 인간을 포함한 척추동물들은 잠을 잡니다. 그것도 많이 잡니다. 특히, 인간은 인생의 3분의 1을 잠을 자는데 보냅니다. 90세까지 산다면 30년을 잠을 자면서 보내는 셈입니다. 이렇게 많은 시간을 잠을 자며 보내지만 실제 잠에 대해 알려진 건 많지 않습니다. 인생의 3분의 1을 자야 하는 이유가 분명 있을 것입니다. 오늘은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 나는 잘 자고 있는지 확인하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1. 수면의 정의국어사전에서 수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잠을 자는 일 2. 활동을 쉬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선사시대부터 인간은 햇빛이 있는 낮동안 많은 활동을 하고, 어둠이 내린 밤에는 잠을 잤습니다. 어둠이 내리면 멜라토닌이 뇌에서 분비되어 우리 몸은 졸음모드에 들어가고, 해가 .. 2024. 8. 9.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은? 방학이 지나고 나면 몰라보게 달라진 자녀의 친구들을 가끔 보게 됩니다. 부럽기도 하고 방학 동안 무얼 했길래 키가 저렇게 컸나 궁금하기도 합니다. 아이들의 키 성장에는 여러 요인들이 영향을 미칩니다. 그중 오늘은 성장하면 떠오르는 호르몬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1. 성장 호르몬 (성장, 근육량 증가, 혈당 증가)성장호르몬은 뇌의 하부에 위치한 뇌하수체에서 분비됩니다. 성장, 발달 및 재생, 치유 등을 담당하는 호르몬으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몸에서 분비됩니다. 물론 어른보다는 아이들에게서 분비량이 많습니다. 가장 왕성한 시기는 사춘기로, 유년기에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가 사춘기에 최고로 분비되며, 이 시기에는 키 성장에 가장 중요한 골격근과 장골을 성장시켜 신체의 최종 키.. 2024. 8. 8.
소아청소년 평균 신장 및 체중(성장도표) 알아보기 우리 아이가 또래보다 작아 걱정인 부모님들이 많습니다. 자녀의 키를 원하는 만큼 성장시키려면 여러 고민이 필요합니다. 먼저 자녀의 신장과 체중이 또래 아이들에 비해 어느 정도 자라고 있는지 확인 후 그에 맞는 대책을 수립하면 됩니다. 자녀의 성장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1. 성장도표보건복지부와 대한소아과학회는 공동으로 1967년부터 약 10년마다 성장도표를 제정·발표하고 있으며, 가장 최근의 발표는 2017년 12월입니다. 성장도표는 소아청소년의 신장, 체중 등 신체계측치의 분포가 제시된 곡선(또는 표)으로 저신장, 저체중, 비만 등 소아청소년의 성장상태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국제적인 표준치 산출방법을 도입하여 '소아청소년이 어떻게 자라야 하는지'.. 2024. 8. 7.
한국인 평균 신장 및 키 크는 방법 2022년 국가기술표준원은 '사이즈코리아 성과발표회'에서 '제8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결과를 공개했습니다. 그 결과 한국인 평균키는 남성 172.5cm,  여성 159.6cm로 집계되었습니다. 약 40년간 남성은 6.4cm, 여성은 5.3cm 커졌습니다. 이는 20~69세까지의 평균키 조사이며, 2021년 20~29세의 평균키는 남성 174.4cm, 여성 161.3cm입니다.  그러나, 희망키는 다릅니다. 보통 자녀의 키는 남자는 180cm, 여자는 167cm까지 자라길 바랍니다. 요즘 길거리를 다니다 보면 키가 의외로 큰 사람들이 많아 내 자녀도 그렇게 크길 바랍니다. 모두들 키에 관심이 아주 많습니다. 1. 키 키우는 방법그렇다면 우리 아이의 키를 1cm라도 더 키울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방.. 2024. 8. 5.